2025 소득 분위 기준표로 내 소득 위치 확인하기
2025년 소득 분위는 가구 월 소득을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로 평가해 산정합니다. 이는 국가장학금, 기초생활보장 등 주요 복지제도의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지표이며, 재산과 부채, 가구원 수까지 모두 반영되어 계산됩니다. 내 소득이 정확히 몇 분위에 해당하는지 알기 위해 어떤 기준과 계산식이 적용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1. 2025년 소득 분위 기준, 어떻게 산정될까
1)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요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모든 가구 소득의 중간값’입니다. 이 수치를 기준으로 각종 소득구간이 설정되고, 복지 지원 대상 여부가 결정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100% | 80% | 60% | 50% | 40% |
---|---|---|---|---|---|
1인 | 2,392,013 | 1,913,610 | 1,435,208 | 1,196,007 | 956,805 |
2인 | 3,932,658 | 3,146,126 | 2,359,595 | 1,966,329 | 1,573,063 |
3인 | 5,025,353 | 4,020,282 | 3,015,212 | 2,512,677 | 2,010,141 |
4인 | 6,097,773 | 4,878,218 | 3,658,664 | 3,048,887 | 2,439,109 |
5인 | 7,108,192 | 5,686,554 | 4,264,915 | 3,554,096 | 2,843,277 |
6인 | 8,064,805 | 6,451,844 | 4,838,883 | 4,032,403 | 3,225,922 |
2) 소득구간(분위) 기준은 어떻게 나뉘나요
국가장학금, 복지지원을 받을 수 있는 ‘소득 분위’는 1~10구간으로 나뉘며, 가구의 소득인정액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래 표는 1인 가구 기준 2025년 소득구간입니다.
소득구간(분위) | 월 소득 인정액(원) |
---|---|
1구간 | ~1,066,887 |
2구간 | 1,066,888 ~ 1,776,479 |
3구간 | 1,776,480 ~ 2,289,995 |
4구간 | 2,289,996 ~ 2,801,729 |
5구간 | 2,801,730 ~ 3,394,738 |
6구간 | 3,394,739 ~ 4,088,437 |
7구간 | 4,088,438 ~ 5,020,688 |
8구간 | 5,020,689 ~ 6,172,004 |
9구간 | 6,172,005 ~ 약 7,000,000 |
10구간 | 7,000,001 이상 |
3) 내 소득 분위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내 소득 분위는 가구원 수와 총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은 단순한 월급 외에도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 금융자산, 부채 등을 포함한 종합소득 개념입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선 복지로 또는 한국장학재단의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5년 소득 분위 산정의 핵심 포인트
-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
- 소득인정액은 근로·사업·재산·금융소득 등 모두 포함
- 재산과 부채도 소득 환산에 반영됨
- 정확한 분위 확인은 공식 모의 계산기 활용 필수
2. 내 소득 분위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
1) 내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비율 계산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을 먼저 확인하고, 내 가구의 총 월 소득을 이 기준값으로 나누면 소득 비율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6,097,773원이며, 월 소득이 400만 원이라면 약 65.6%에 해당합니다.
계산 공식: 가구 월 소득 ÷ 기준 중위소득 × 100
예시: 3인 가구, 월 소득 320만 원 → 320만원 ÷ 5,025,353 ≈ 63.7%
2) 소득인정액에 포함되는 항목
단순한 월급 외에도 모든 수입과 자산이 소득인정액 산정에 포함됩니다. 특히 부동산, 금융자산, 전월세 보증금 등도 소득환산율을 적용해 월 소득으로 환산됩니다.
항목 | 포함 여부 | 비고 |
---|---|---|
근로소득 | 포함 | 일용직, 정규직, 아르바이트 등 |
사업소득 | 포함 | 자영업, 프리랜서 등 |
재산 소득환산 | 포함 | 주택, 자동차, 예금 등 |
부채 | 차감 | 학자금, 주택담보대출 등 |
기초연금·기초생활보장 | 포함 | 이전소득으로 계산 |
3) 실제 소득 분위와 체감 차이 나는 이유
부채가 많거나 재산이 적으면 낮은 분위로 산정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융자산이 많다면 소득이 적어도 고소득자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득인정액이 단순 월급만으로 판단되지 않고, 모든 재산과 부채를 포함한 ‘총 경제력’으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소득인정액 계산에 영향을 주는 요소
- 금융자산이 많으면 고소득자로 평가될 가능성 높음
- 부채가 많으면 소득인정액은 낮아질 수 있음
- 기본재산 공제 후 소득환산율로 월 소득 환산
- 지역별 기준재산액 다름 (대도시, 농촌 등)
- 다자녀 가구는 소득 공제 혜택 존재
3. 복지 및 장학금 수혜 가능성은?
1) 국가장학금 9구간 신설의 의미
2025년 국가장학금은 9구간까지 지원이 확대되어, 기준 중위소득의 300% 이하 가구도 수혜 대상이 됩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 1,829만 원 이하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구간 | 중위소득 대비 | 4인 가구 월 소득 | 연간 지원금액 |
---|---|---|---|
9구간 | 300% 이하 | 18,293,319원 이하 | 100만원 (다자녀 최대 200만원) |
2) 장학금 외 복지제도 적용 기준
기초생활보장, 차상위계층, 영구임대주택 등 복지정책도 소득 분위에 따라 지원 범위가 달라집니다. 기준 중위소득 60%, 80%, 100% 등을 기준으로 삼고 있으니 반드시 가구원 수에 맞게 비교해야 합니다.
3) 모의 계산기로 보다 정확하게 확인
한국장학재단의 ‘소득인정액 모의계산’을 활용하면 내 소득 분위와 예상 구간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식 심사와 실제 결과는 일부 다를 수 있다는 점 유의해야 합니다. 아래 바로가기 페이지에 접속 > 상단 메뉴 '장학금' 선택 > 하위 메뉴 또는 페이지 내에서 '한눈에 보는 학자금 지원구간' 클릭 > 지원구간 안내 페이지 우측 하단 또는 화면 한쪽에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2025 국가장학금 소득 분위 적용 요약
- 9구간 신설로 중위소득 300% 이하 가구까지 지원
- 4인 가구 기준 월 1,829만 원 이하
- 기존 8구간까지 대비 지원 확대
- 일반은 최대 100만원, 다자녀는 200만원까지 가능
- 가구원 수와 자산까지 포함한 종합 심사 진행
2025 소득 분위 자주하는 질문
- Q. 2025년 소득 분위 기준표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 보건복지부, 복지로, 한국장학재단 공식 홈페이지에서 매년 고시되는 기준 중위소득과 소득구간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Q. 소득 분위 산정 시 재산과 부채도 포함되나요?
- 네, 주택, 자동차, 금융자산 등 재산은 소득환산 방식으로 반영되며, 부채는 재산에서 차감되어 순자산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Q. 국가장학금 9구간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 2025년부터는 9구간(기준 중위소득 300% 이하)까지 국가장학금 지원이 가능하며, 연간 최대 100만 원(다자녀는 최대 2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Q. 소득인정액 계산 시 공제되는 항목이 있나요?
- 기본재산액, 부채, 다자녀 공제, 일부 금융자산 공제 등이 적용되며 제도별로 공제 기준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 Q. 복지로 모의 계산기에서 확인한 분위가 실제 지원과 다를 수 있나요?
- 모의 계산기는 참고용이며, 실제 소득 분위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한 공식 심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2025 소득 분위별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 총정리
정부 지원금과 장학금은 소득 분위에 따라 지원 대상과 금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2025년을 기준으로 소득 분위별로 받을 수 있는 장학금과 생활지원금, 청년 정책 등을 포함한 정부 지원 항목은
chk.moduitda.com
가구원 수 따라 달라지는 소득 분위 계산 방법
소득 분위는 가구원 수에 따라 실질적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동일한 총소득을 가진 가구라도 인원 수에 따라 균등화 소득이 달라지고, 이는 소득 분위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
chk.moduitda.com
'이거 알아? che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 안내 도우미로 일하며 월 177만 원 받는 법 (0) | 2025.05.11 |
---|---|
디지털 안내사 서울시 공공일자리 참여 가이드 (0) | 2025.05.10 |
2025 소득 분위별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 총정리 (0) | 2025.05.10 |
가구원 수 따라 달라지는 소득 분위 계산 방법 (0) | 2025.05.09 |
소득 분위가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5.05.09 |
댓글